피그말리온 효과

 

by 전서영

 

그리스 신화를 보면 키프로스에 사는 피그말리온이라는 젊은 조각가의 이야기가 나온다. 상아로 여인상을 조각한 그는 여인에 관심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만든 여인상이 너무나 아름다운 나머지 사랑에 빠지고 만다. 어느 날 아프로디테의 축제 날을 맞이하게 된 그는 미의 여신에게상아의 여인상과 같은 여인을 만나게 해달라는 간절한 기도를 속삭인다. 그 후, 집으로 돌아와 여느 때처럼 여인상에 입을 맞추는데 다만 이번만은 그녀의 입술이 따뜻하고 촉촉한 게 아닌가. 피그말리온의 지고지순한 사랑에 감동받은 아프로디테가 그의 기도에 응답해주어 굳어있던 여인상이 진짜 여인이 된 것이다.

 

피그말리온에 대한 여러 가지 변형된 이야기가 있겠지만 전반적인 내용은 이러하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피그말리온은 수많은 사랑이야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그 예가 바로 <피노키오>, <프랑켄슈타인>, <마이 페어 레이디>이다문학적으로뿐만 아니라 심리학적으로도 피그말리온의 영향을 볼 수 있는데 이는피그말리온 효과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파고들면 이름만 따왔을 뿐, 사뭇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피그말리온 효과란 타인이 나를 존중하고 나에게 기대하는 것이 있다면 그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변하려고 노력하여 결국 결실을 맺는다는 것을 뜻한다. 로젠탈 효과로도 알려져 있는 이 개념은 1968년 하버드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인 로버트 로젠탈의 연구로 인해 탄생했다그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능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와 관계없이 무작위로 한 반에 20% 정도의 학생을 뽑아 교사에게 명단을 건네며 ‘지적 능력과 학업성취의 향상 가능성이 가장 높은 학생들이라 믿게 했다그로부터 8개월 후 이전과 같은 지능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명단에 속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심지어 학교 성적도 크게 향상되었다달리 말해 인간에게 기대와 칭찬과 격려가 갖는 중요성을 일깨워준 연구 결과나 다름없었다. 부모, 교사, 지도자 등 교육자가 자녀나 학생부하직원 등 피교육자에게 특별한 믿음을 가지고 교육에 임한다면 피교육자는 궁극적으로 교육자가 원하는 그 바람과 믿음대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From Instagram @middleburyinstitute

 

단도직입적으로 얘기하자면 통대생활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는 그 어느 것보다 더 절실하다. 왜냐, 피그말리온 효과는 멘토와 멘티 사이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한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졸업하고 나서 실전에서 자주 듣지 못할 진심 어린 칭찬과 격려를 대학원 때 틈틈이 들을 수만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스스로 자신에게 특별한 믿음을 가지고 성실하게 공부에 임한다면 결국 어떻게든 자신이 원하는 모습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솔직히 말하자면 이렇게라도 나 자신에게 최면을 걸어야 2년 동안 자신과의 싸움을 할 이 곳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만 같다

 

1학년 2학기 초만 해도 겨울방학 때 굳건히 스터디를 해왔으니 새 학기를 보람차게 맞이할 수 있겠다 생각했다. 실로 발전한 내 모습을 발견하기도 했고 내심 뿌듯한 마음에 벌써부터 완성된 나의 미래를 그리며 설렘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중간고사 때, 소위 말해 실전에서는 지난 7주간 기력이 소진되었는지 그동안의 공부가 말짱 도루묵이 된 기분이 들 정도로 보기 좋게 말아먹었다. 그런데 한 동기의 말을 빌리자면 그렇게까지 시원하게 말아먹었는데도 배가 부르지 않더라. 어느 순간 정말 아무리 노력해도 실력이 정체된듯하고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 등 모든 것이 복합적으로 다가와 온 몸과 마음이 무기력해졌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때쯤 내 정신을 혼미하게 만드는 흔하디 흔한 레퍼토리가 다가오곤 한다

 

내가 여기서 왜 이러고 있나. 이게 뭐라고 눈물 콧물 다 쥐어짜가면서 이러고 있나. 나는 누구인가. 여긴 어디인가. 나의 미래는 도대체 어떻게 되는 것인가.’

 

From Instagram @middleburyinstitute

 

그러고선 날아가는 정줄의 끝자락을 부여잡고 오글거림의 끝판왕이 되어 내게 대답한다

 

왜 이러고 있냐니, 누군가가 너의 가능성을 인정했기 때문에 여기 있는 거지. 뭐긴 뭐야, 아직 뇌 말랑말랑할 때 네가 정말 하고 싶어 했던 공부지. 누구긴 누구야, 넌 너고 여기는 대학원이지. 너를 기다리는 건 무한한 미래이고.’

 

이렇게 머리 속에서 말도 안 되는 시 한 수를 읊듯이 나 자신에게 위로의 말을 되뇌고 또 되뇌었다. ‘나는 분명히 가능성과 잠재력을 지녔기 때문에 이 천금 같은 시간을 대학원이라는 값진 장소에서 보낼 수 있는 혜택을 받아냈고 좋은 동기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만했기 때문에 얻은 것이다라고. 참으로 내 입으로 말하기 민망하고 재수 없는 이야기이지 않나. 하지만 정신적으로 보면 나 자신으로부터라도 이러한 칭찬이 정말이지 절실하고 힘이 된다. (물론, 타인의 칭찬이 더 힘이 될 때가 있지만 말이다.) 

 

1학년 2학기의 하반기에 들어선 지금, 이미 수많은 기복과 슬럼프를 겪어온 가운데 우리 모두 피그말리온 효과를 적용시켜 우리 자신에 대한 특별한 신뢰를 다시금 내비칠 때가 되었다. 또한 허황된 망상이나 과도한 욕심을 내세우는 것보다 그저 일주일 후, 3주 후, 혹은 학기 말까지 등 조금씩 우리가 꿰차고 싶은 그 모습을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해답은 정답이 없다. 1 더하기 1 2라고 알려줄 사람도, 정작 2라는 보장도 없다. 통번역에 대한 우리의 해답은 개개인에 따라 1 더하기 1 3일 수도, 4, 5, 혹은 11일 수도 있다. 그 해답은 우리 스스로 쟁취해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는 당장 눈앞에 결과들에 연연하지 말고 꿋꿋하게 매일 조금씩 정진해야 한다. 인생은 끊임없는 반복이라고, 반복에 지치지 않는 자가 성취한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끝으로 나의 인생영화 중 하나인 <월플라워>의 마지막 대사를 공유하고 싶다

 

From The Perks of Being a Wallflower (2012) Dir. Stephen Chbosky

 

“17살이 되면 16살에 힘들었던 지난날들을 잊어버리는 사람들도 있어. 

그리고 이 모든 것은 언젠가 그저 이야기로만 남겠지. 우리의 지금 사진들은 옛날 사진으로 남을 테고 우리는 누군가의 아버지, 누군가의 어머니가 되어있을 거야. 하지만 지금 이 순간만은 책에서의 이야기가 아니야.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이야기이고 난 여기에 있어.

넌 살아있어.

일어서서 건물의 불빛들을 볼 수 있고 널 궁금하게 만드는 모든 것들을 볼 수 있어.

또 지금 달리는 차 안에서 그 노래를 들을 수 있지. 

세상에서 네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살아있는 이 순간, 우리는 무한하다.”

 

16살이나 17살 때 끝이라고 생각했던 순간들은 이제 우리의 과거를 비춰주는 추억 속 한 장이 되어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무것도 아닌 일이었는데 그때 당시에는 왜 그리도 힘들었을까? 지금 이 시간도 훗날 ‘대학원 시절’로 일컬어지면서 한 때의 추억으로 남을 것이다. 어제오늘 울었던 이 순간들이 내일 웃으면서 얘기하는 과거가 되듯이 말이다. 언젠가 지금 공부하면서 울고 웃는 나날들을 그리워할 때가 올 지도 모른다. 아니, 그리워질 것이다. 적어도 하루하루를 함께 보내고 있는 나의 동기들을 생각해보면 분명히 그리워질 것이다. 

 

내일이나 모래, 아니면 다음 주, 다다음주에 또 내가 울 일이 생길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지금 이 모든 순간들, 우리 손에서 날아가 버리기 전에 즐기고 또 즐기자. 

 

자신을 소홀히 하지 말고 서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면서. 

 

혼자 끙끙 앓지 말고 서로 위로해주고 치유해주면서. 

 

함께 울고 웃으면서. 언제 또 이런 날이 오겠나.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ites DOT MIISThe Middlebury Institute sit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