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LM, 로컬라이제이션을 아시나요?

By: Eun Hye Cho

몬트레이 국제 대학원에서는 번역 및 로컬라이제이션 관리 석사 학위(MATLM)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I18n. L10n. 과연 이 두 가지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I18n 즉 internationalization이란 웹사이트 및 소프트웨어 같은 제품을 전 세계에 공급하기 위한 과정에서 번역을 하기 전, 첫번째 단계를 말합니다. 보통 번역을 먼저 한 후에 엔지니어링 및 코딩을 수정할 경우 회사는 금전적으로 손해를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웹사이트, 소프트웨어, 매뉴얼 등을 여러 언어로 번역하기 전에 번역된 글을 쉽게 입력 할 수 있도록 리엔지니어링을 하여 미리 손쓰는 거죠 ^^  예를 들어,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면 글이 짧아지는데 불어나 독일어 같은 유럽 언어로 번역하면 길이가 두배 이상 늘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한정된 공간에 늘어난 글자 수를 다 넣으려면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을 다시 해야겠죠? 웹사이트 인터네셔널라이제이션의 경우 버튼의 크기를 미리 길게 바꿔서 번역한 글이 늘어나도 문제 없도록 해줍니다.

이런 앱같은 경우 아래의 ‘Etiquette’ 과 ‘Adjust’ 버튼의 크기를 보시면 글이 늘어나면 버튼 밖으로 퍼지겠죠? 그렇기 때문에 위에 커진 버튼처럼 글이 늘어날 수 있는 여유를 주는 거죠. 이런 작업을 개발과정에서 미리 해두면 번역을 한 후에 코딩을 수정하지 않아도 되니 시간도 절약되고 이런 문제를 고치기 위해 엔지니어에게 추가 작업을 시키지 않아도 되고, 회사 입장에선 일석이조겠죠?

그렇다면 왜 ‘internationalization’을 줄여서 i18n이란 약자를 쓸까요? 그 이유는 바로… i 과 n 사이에 있는 글자를 세어보면 총 18글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로컬라이제이션’ 이라는 단어가 생소한 분들도 많으실겁니다. L10n 은 localization, 즉 현지화 작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와 웹사이트 등을 다른 나라의 문화에 맞게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단순히 글을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적 요소도 고려해야 하죠. 예를 들어, 웹사이트 로컬라이제이션을 하는데 웹사이트에는 글도 있고, 이미지도 있고, 동영상도 있습니다. 글을 번역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 외에는 어떤 것을 현지화해야 할까요? 먼저 어떤 종류의 이미지인지를 확인해야합니다. 그 사진이 다른 나라에서도 과연 적합할까요? 예를 들어 모든 미국인들은 아래 사진이 우편함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생긴 우편함을 쓰지 않는 나라에서는 이런 이미지가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예전에는 미국의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이 받은 편지함을 표시할 때 우편함 사진을 많이 썼는데 요즘에는 봉투 사진을 많이 쓰더라고요.

 

로컬라이제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Lionbridge 회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마케팅 프로그램 및 메시지를 제공하려면 각 지역과 언어에 맞게 그리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작업 방식은 언어 및 문화의 미묘한 차이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힘든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마케팅은 미학적 측면과 과학적 측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모든 마케팅 콘텐츠는 전 세계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현지 시장의 문화적 특성과 상황에 적합하게 작성되어 대상 고객의 호응을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몬트레이 통번역 대학원의 MATLM 프로그램에서는 무엇을 배우나요?

모든 TLM 학생은 첫 학기에 Introduction to Computer-Assisted Translation (CAT)을 수강합니다. 로컬라이제이션 서비스는 도움말, 온라인 문서, 인쇄용 매뉴얼, 패키징 등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일관성 있게 번역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CAT (computer-assisted translation) tool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많은 양의 글을 일관성 있게 번역하려면 글로서리와 번역 메모리(TM)가 꼭 필요합니다. CAT 수업에서 Wordfast, Lingotek, Snowball 그리고 번역 업계에서 많이 사용하는 Trados를 배우게 됩니다.

또한 첫 학기에 Introduction to Localization Project Management을 듣는데요. Account manager, project manager, localization engineer, translator, editor 등등 로컬라이제이션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담당 분야 및 역할에 대해 배우고 client vs. vendor, LQA vs. FQA와 같은 개념들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1 학년 때 번역 수업과 함께 비즈니스 수업도 듣습니다. Accounting 과 Marketing Management는 TLM 학생이 꼭 들어야 하는 필수 과목입니다. 이 둘은 설명 안해도 뭔지 아시겠죠? ^^

 

그럼 2 학년으로 올라가면 어떤 것을 더 배우나요?

2 학년 첫 학기에는 Software Localization 수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로컬라이제이션의 기술적인 측면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Microsoft Word와 Excel의 advanced find & replace, styles, hidden text, macros 기능부터 시작해서 Unicode (UTF-8)의 중요성, 그리고 Programming (algorithm)에 대해서도 살짝 배우기까지! 또한, HTML의 기본을 배운 후 XML, JavaScript, PHP도 조금씩 배우고 써보게 됩니다. 저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소프트웨어 로컬라이제이션 수업을 들었는데요, 처음에는 상당히 어렵더라구요. 그러다가…

2 학년 2 학기 때 Website Localization 수업을 들었습니다. Software Localization 수업에서 모르는 것을 다 배워서였는지 Website Localization할 때는 훨씬 수월하더군요! Website Localization 수업에서는 HTML에서 번역해야할 translatable text extraction을 연습합니다. HTML, XML 기술을 계속해서 배우고 쓰다 보니 이제는 쉬워졌답니다 ^^ 그 외에도 웹사이트 internationalization에 대해서 교수님과 학생들 앞에서 프레젠테이션도 하고 학생들을 소그룹으로 나누어 로컬라이제이션 팀이 되어서 project manager, account manager, translator, localization engineer의 역할을 각각 맡아 웹사이트를 실제로 localize하는 연습을 합니다.

소프트웨어와 웹사이트 로컬라이제이션 수업 외에도 Terminology Management (용어 관리), Localization as a Profession, Translation Management Systems 그리고 Localization Project Portfolio 수업을 2학년때 듣습니다.

Terminology Management에서는 SDL MultiTerm과 Termwiki의 사용법을 배우고, Localization as a Profession에서는 1학년때 수강했던 Introduction to Localization Project Management 수업보다 더 깊게 배웁니다. Translation Management Systems에서는 SDL WorldServer를 배우고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매주 연습합니다.

마지막으로 Localization Project Portfolio 수업은 학생들이 졸업했을때 쉽게 취직할 수 있도록 로컬라이제이션 프로젝트를 독립적으로 진행하게 합니다. 학생 3-4명이 그룹을 형성하여 작은 로컬라이제이션 프로젝트를 하나를 선정하고 3-4주에 걸쳐 프로젝트를 완성한 후 프레젠테이션을 합니다. 예를 들어 iPhone이나 Android 앱을 localize하거나 전자책(e-book)을 번역합니다. 한 학기 동안 2개의 그룹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마지막에는 그룹이 아닌 혼자만의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저는 두번째 그룹 프로젝트로 동영상 로컬라이제이션을 했습니다. MIIS 국제회의전공 졸업생의 인터뷰 영상에  7개 언어의 자막을 입히는 프로젝트였는데요, 제가 직접 7개 언어로 번역하는 일은 불가능하겠죠? 그래서 저와 그룹 멤버들은 project manager의 역할을 맡아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로 번역할 수 있는 MIIS 통번역 학생들을 찾았습니다. 그리고 번역 단계가 완성된 후 또 다른 통번역 학생들이 에딧했습니다.  이 링크를 클릭하면 보실 수 있습니다 ^^

Localization Project Portfolio에서 프로젝트 진행을 하면서 여러 가지 이슈들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럴 때는 잘 대처해서 기억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면접 때 항상 받는 질문이거든요 ^^

로컬라이제이션이 워낙 생소한 분야이기 때문에 설명이 길어졌습니다. 처음 접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ites DOT MIISThe Middlebury Institute site network.